수상 경력
•
레드 어워드 2020 <주목할 만한 담론> 수상
•
문화일보 2020 올해의 책 후보
•
알라딘, 대한적십자사 2021 올해의 인도주의 도서 후보
•
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년도 3차 문학나눔 도서보급사업 <수필 분야> 선정
언론 소개 및 서평
책 소개 및 서평
•
•
•
•
에이블뉴스, 질병·장애를 둘러싼 사회를 깊이 바라보길
•
인터뷰
•
채널예스, 안희제 “아픈 청춘입니다만, 살아 있습니다”
•
•
AP신문, 장애인 현실과 동떨어진 광고 만든 SK텔레콤
•
한겨레21, #부모님이라는 말은 쓰지 않겠습니다
•
행복나눔재단, 모두의 감각을 위한 상상력을 켜다
인용
기타 매체
•
알라디너TV 라이브 북토크
•
KBS 라디오 <정용실의 뉴스브런치>, 0827(목) 코로나 위기 속 의협 파업, 갈등 해결은? – 송문희, 전예현, 박진아, 박은지
•
유튜브 채널 <스튜디오 알 Studio R>, [돌멩생각#3] 난치의 상상력 – 질병과 장애, 그 경계를 살아가는 청년의 한국 사회 관찰기
•
유튜브 채널 <담롱>, 느리고 약한 사람들과 함께
["난치의 상상력" 작가 안희제]
•
유튜브 채널 <담롱>, 아픈 사람도 한 명의 인간으로 살 수 있는 사회 ["난치의 상상력" 작가 안희제]
•
유튜브 채널 <취재대행소 웽>, 장애 ‘극복’ 광고, 정말 감동적이었을까?
목차
•
표지 설명
•
들어가는 말
1. 경계 밖으로 밀려나다
•
아픈 청춘입니다만, 살아 있습니다.
•
나는 나를 의심한다.
•
‘점’이 아니라 ‘선’
•
환우患友 가족의 탄생
•
아플 걸 알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
•
‘덜’ 장애인? ‘조금 더’ 장애인?
2. 금을 밟다
•
어느 정도 장애인이세요?
•
휠체어가 필요한 순간
•
취준생의 자격
•
누구도 해치지 않는 말하기
•
텍무새가 떴다!
•
신경 노동
•
인권은____아니다
3. 선을 응시하다
•
‘착한’ 기업은 충분한가
•
‘쓰레기’의 욕망
•
연극이 끝나고 난 뒤
•
‘환자’ 대통령을 상상하다
•
타인의 몸을 의심할 권리?
•
당신의 시선은 결백한가
•
해명은 없다
4. 틈을 넓히다
•
병사病死면 뭐가 달라지는데요?
•
죽음은 더 낮은 곳으로 간다
•
우리가 같이 살아남을 수 있을까
•
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
•
역병이라는 스펙타클
•
우리는 치료되지 않는다
5. 경계 위를 살다
•
“안 아파 보이는 나를 용서해줘”
•
나를 위해 울지 마
•
내 몸이 의학의 한계이다
•
식물 같은 일상
•
약해지기 위해 쓴다
•
아픈 몸들이 함께 이야기한다면
6. 부록: 아픈 대학생이 알려주는
•
이메일 쓰는 법
•
조별 과제 대처법
•
잘 먹고 잘 쉬는 법